3대 정치·연대전략
3. ‘사회연대위원회’ 건설로 민주노총이 중심에서 연대운동 강화 복무
- 반자본-반신자유주의를 기치로 한 새로운 전선운동 강화
- 노-농-빈 계급대중조직 연대 강화
- 사안별-의제별 범사회적 공동대응기구 활성화
- 세월호 참사 등 전사회적 투쟁에 대한 전조직적 대응 강화
- 생태-환경-빈곤 등 부문운동 및 장애-이주-성소수자 등 소수자 운동과의 적극적인 연대 실현
- 한국진보연대와 민중의 힘 등, 그간 지속됐던 연대운동의 흐름은 현실적으로 연대운동의 발전으로 작동하기 보다는 오히려 전선운동의 후퇴를 불러왔다. 투쟁 속에 형성된 전반적인 동의 없이 특정 세력에 의해 무리하게 추진된 연대체는 서로에게 모두 상처만 남길 뿐이란 점이 가장 학습 가치가 높은 교훈이었다.
- 반자본-반신자유주의를 기치로 한 전선체 운동 강화는 매우 시급하고 정당한 과제다. 이 과정에 주요 대중조직인 민주노총이 앞장서야 하며, 농민-빈민 등 기층 계급 대중조직이 앞장서 실천하는 모범을 보여야 한다. 또 상층의 전선체가 아니라 가맹산하조직이 적극적으로 결합해 활동할 수 있는 통로와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이를 통해 대중운동을 기반으로 한 전선체 운동이 가능하며, 상층과 특정 세력 간의 연대를 넘어서서 기층 조직의 전선운동 참가를 기대할 수 있다.
- 이와 같은 상설 투쟁체 구성과 함께, 사안별-의제별 쟁점화와 집중적인 사업 집행을 위한 공동대응기구 역시 금기시 돼서는 안 되며, 더욱 폭넓은 연대의 장을 실현하기 위한 차원에서 적극 추진돼야 한다.
- 세월호 참사의 경우, 사회적 이슈에 대응하는 계급대중운동의 한계를 민낯으로 드러냈을 뿐만 아니라, 파업조직화의 부재라는 관점에서도 냉정한 평가가 필요하다. 2014년 상반기 대표적 민중투쟁이었던 세월호 참사 대응 과정에서 민주노총의 위치와 역할은 과거 사회적 투쟁을 이끌고 견인했던 모습과는 거리가 멀었다. 수많은 국민대책회의 참가단체 중 하나 이상의 역할을 하지 못했고, 실제 주체 스스로도 그 정도 수준의 역할을 설정하고 만족하는 태도를 보였다. 예컨대 지역본부와 산별노조 중심으로 충분히 조직 가능한 세월호 특별법 서명운동을 위한 유가족 순회 지원이 중앙의 주요 핵심 사업으로 격상되고, 같은 시기 진행돼야 했던 6-7월 투쟁조직화를 위한 현장사업이나 세월호 이슈의 정치화 혹은 박근혜 퇴진 투쟁으로의 발전을 위한 계급적 노력은 뒷전으로 밀려난 것은 그 대표적인 경우다.
- 따라서 전사회적 투쟁과 광장의 저항에 연대하는 민주노총의 모습을 되찾아야 하며, 이를 위해 기존의 ‘대외협력실’ 수준으로 정체돼 있는 연대사업을 대폭 확대-강화하기 위한 ‘사회연대위원회’를 구성해 실질적인 집행 단위로 삼아야 한다.